엑셀에서 배열수식, 논리식 등을 사용하는 방법
반복과정을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매트랩에서는 행렬과 성분별 연산을 사용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 엑셀에서는 배열수식이 있습니다. 또한, 엑셀에서, 산술연산뿐만 아니라 논리연산도 가능합니다. 이번글에서는, 배열수식, 논리식 등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열수식과 논리식의 조합, 논리식과 연산의 조합 등을 포함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배열수식은, 범위의 각 성분이 각각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며, 최종적으로, 각 성분에서의 연산결과값들로 구성되는 범위가 됩니다. 이 때 연산은 성분자체의 연산이나 외부객체와의 조합에 의한 연산이 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배열수식의 작성은, 모든 내용(범위, 연산자, ...)을 기입한 후, ctrl+shift+Enter (수식 중의 범위가 배열수식이 되게 함)를 누름으로써 작..
2020. 11. 1.
엑셀에서 countif( ), sumif( ), vlookup( ) 함수, index( match( ) ) 등을 사용하는 방법
우리는 엑셀을 사용하면서 엑셀함수를 종종 사용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업무롤 하면서, countif( ), sumif( ), vlookup( ) 함수 그리고 index( match( ) ) 함수조합 등을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countif( ), sumif( ), vlookup( ) 함수, 그리고 countifs( ), sumifs( ), hlookup, 그리고 index( match( ) ) 함수 조합, 배열함수를 사용한 다중조건의 index( match( ) ) 함수조합 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countif( ) 함수는, 어떤 벡터(예: 열 또는 행) (주로 열 임)에서, 성분값(벡터성분의 값)이 특정값과 같은 경우를 모든 성분에 대해 세어서..
2020.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