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하드 불량으로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여러가지 문제로 컴퓨터를 강제로 꺼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재부팅 시 정상모드로 바로 부팅하지 말고,
안전모드 부팅 --> 정상으로 전원 끔 --> 정상 부팅
순으로 부팅작업을 수행하여야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제거리가 남지 않습니다.
안전 모드 부팅란, 윈도우 부팅 시, 운영체제를 실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최소부분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기능들은 비활성화시키면서 부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10에서 안전모드 부팅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의 윈도우7인 경우는 부팅 시 F8을 여러번 누르면 안전모드 부팅으로 들어가는데, 윈도우 10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없어져 난감해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윈도우 10에서의 안전모드 부팅방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이 가장 간편한 것같습니다).
방법 1 :
1.{ 시작메뉴를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Windows 로고키를 누름. 왼쪽에 시작메뉴가 열립니다. 시작메뉴에서 '전원버튼'을 클릭} 또는 { Ctrl + Alt + Del 을 누름. 화면이 뜹니다. 화면 우측하단의 '전원버튼' 을 클릭.}
2. 메뉴가 뜨면 Shift 키를 누른 채로 '다시 시작'을 클릭.
3. 옵션 선택 메뉴가 뜹니다. '문제 해결'을 클릭.
4. '문제 해결' 메뉴가 뜹니다. '고급 옵션'을 클릭.
5. '고급 옵션' 메뉴가 뜹니다. '시작 설정'을 클릭.
6. '시작 설정' 메뉴가 뜹니다. F4를 눌러 안전 모드 사용을 선택 [ 1)번이면 숫자1이 아니라 F1, 2번이면 F2를 누르는 것임]. 안전모드로 시작됨.
방법 2 :
1. 키보드의 Windows 로고키 + R 을 누름.
2. 실행창이 뜹니다. 열기에 'msconfig'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
3. 시스템 구성창이 뜹니다. 부팅탭을 누름. 안전부팅에 체크표시(안전모드 부팅 후 네트워크를 사용하려 하면, 네트워크도 체크표시). 확인을 누름.
4. 재부팅 (즉, 방법1의 1번 작업 수행 후, 메뉴가 뜨면 '다시 시작'을 클릭). 안전모드로 시작됨.
5. 다시 시스템 구성창으로 가서, 안전부팅에 체크되었던 것을 해제하여 원래대로 만듬.
방법 3 :
1. 시작메뉴를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Windows 로고키를 누름.
2. 왼쪽에 시작메뉴가 열립니다. 시작메뉴에서 '설정버튼' 을 클릭.
2. Windows 설정창이 뜹니다. 복구를 클릭.
3. 고급시작옵션의 '지금다시 시작'을 클릭.
4. 방법1의 3번 - 6번 작업을 차례로 수행.
이상으로 윈도우 10에서의 안전모드 부팅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꿀팁 모음 > 컴퓨터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에서 countif( ), sumif( ), vlookup( ) 함수, index( match( ) ) 등을 사용하는 방법 (0) | 2020.10.11 |
---|---|
엑셀에서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 (0) | 2020.04.03 |
엑셀에서 보이는 부분만 복사해 붙이는 방법 (0) | 2020.03.23 |
윈도우 10 설치 USB 만드는 방법 (0) | 2020.02.22 |
윈도우 10 비밀번호 분실 시 해결방법 (0) | 2020.02.21 |
댓글